반응형

Network 7

VPN

가상 사설망(VPN)에 관한 레포트 1. 소개 가상 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은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고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며, 보안, 프라이버시, 그리고 접속 가능성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작동 원리 VPN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 - 암호화: 데이터는 VPN을 통해 전송되기 전에 암호화됩니다. 이는 데이터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무단 접근을 방지 - IP 주소 숨김: VPN을 사용하면 사용자의 IP 주소가 숨겨지고 대신 VPN 서버의 IP 주소가 제공됩니다. 이는 사용자의 신원을 보호하고 온라인 활동을 익명으로 활동할 수 있다. - 지역 제한 우회: VPN을 통해 사용자는 ..

Network 2024.03.19

RAID란?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는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하나의 논리적인 단일 장치로 결합하여 데이터의 안정성, 성능, 또는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개선하는 기술입니다. RAID는 다양한 수준(레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레벨은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정의됩니다. 아래에서는 주요한 RAID 레벨과 RAID의 기본 개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 RAID 레벨 ◀ 1. RAID 0 (스트라이핑(Striping) 기반의 데이터 분산) - RAID 0는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조합하여 하나의 논리적인 저장 장치로 사용하는 방식 중 하나로,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에 나누어 저장하여 읽기 및 쓰기 작업을 동시에 수행..

Network 2024.03.11

스위치 허브 라우터 게이트웨이 개념

▶네트워크에서 스위치, 라우터, 게이트웨이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고 관련 문제를 풀어보자◀ ☞ 서론: 컴퓨터 네트워크는 현대 사회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데, 그 효율적인 운영과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주요 장비로 스위치, 라우터, 게이트웨이가 있습니다. 각각의 장비는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구성과 데이터 관리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스위치 (Switch): 스위치는 로컬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는 핵심적인 장비입니다. 여러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스위치는 해당 디바이스들 간의 효율적인 통신을 지원합니다. 이는 네트워크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데이터 전송 속도와 신뢰성을 향상시킵니다. 스위치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MAC 주소를 이용하여 패킷..

Network 2024.03.10

http의 구조 이해

1. http 헤더 구조 HTTP(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는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며, HTTP 메시지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통신을 정의합니다. HTTP 헤더는 이러한 메시지의 일부로,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요청과 응답의 모두에 적용되는 일반 헤더와 엔터티 헤더가 있습니다. **1. 일반 헤더:** - **Cache-Control:** 캐시 동작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제공합니다. - **Connection:** 현재의 연결에 대한 옵션을 설정하거나, 다양한 연결 옵션을 표시합니다. - **Date:** 메시지가 생성된 날짜와 시간을 포함합니다. - **Pragma:** HTTP/1.0과의 하위 호환성을 위해 사용되었지만, 일반적으로는 Cache-Contr..

Network 2024.03.07

포트(port) 개념 및 종류

1. 포트(port) 네트워크 포트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특정한 프로세스나 서비스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식별되는 논리적인 엔드포인트입니다.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에서 주로 사용되며, 각 포트는 고유한 번호로 식별됩니다. 포트는 16비트로 표현되며, 범위는 0부터 65535까지입니다. 이 범위는 0부터 1023까지는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s)로 예약되어 있으며, 특정 서비스에 할당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HTTP는 보통 포트 80을 사용하고, HTTPS는 포트 443을 사용합니다. 포트는 컴퓨터나 장치 간 통신을 가능케 하며, 데이터를 특정 프로세스나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게 합니다.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는 송신자의 포트에서 수신자의 포트로 전송..

Network 2024.03.07

이더넷(Ethernet)

이더넷(Ethernet)과 인터넷(Internet)을 같은 말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이더넷은 좀 다르다고 생각해야 할 것이다. 즉 네트워킹의 한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 이더넷은 원칙적으로 하나의 인터넷 회선에 유/무선 통신 장비 공유기, 허브 등을 통해 다수의 시스템이 랜선 및 통신포트에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구조를 말하는 것이다 이더넷은 전 세계 학교, 가정, 사무실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네트워크 규격이다. OSI 7 Layer Model 중 Physical Layer과 Data Link Layer(MAC, Packet, Protocol)에서 형식이 정의된다. Ethernet와 Internet의 개념을 좀 정의해보자 Internet는 여러 네트워크를 전세계적으로..

Network 2023.03.31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엑스트라넷(Extranet)

■ 인터넷(Internet) ▶▶ 인터넷(Internet)의 인터(Inter)는 "연결"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터넷(Internet) 이란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묶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좀 더 많은 사람들과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서 서로 연결하기 시작하였고 이게 바로 인터넷의 시작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인터넷 주소의 시작 주소는 www 시작한다. 예를 들어 네이버나 구글로 접속을 할 때 www.naver.com 또는 www.google.com 로 접속을 하게 된다. 여기서 "www"의 의미는 World Wide Web의 약자이다. 거미줄처럼 복잡한 망으로 인터넷이 연결이 되었기 때문에 이를 뜻하는 Web라는 말을 쓰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 인트라넷(Intranet) ▶▶ 인트라넷(Intran..

Network 2023.03.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