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이더넷(Ethernet)

ggaul 2023. 3. 31. 08:02
반응형

이더넷(Ethernet)과 인터넷(Internet)을 같은 말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이더넷은 좀 다르다고 생각해야 할 것이다. 즉 네트워킹의 한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

 

이더넷은 원칙적으로 하나의 인터넷 회선에 유/무선 통신 장비 공유기, 허브 등을 통해 다수의 시스템이 랜선 및 통신포트에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구조를 말하는 것이다

 

이더넷은 전 세계 학교, 가정, 사무실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네트워크 규격이다. OSI 7 Layer Model 중 Physical Layer과 Data Link Layer(MAC, Packet, Protocol)에서 형식이 정의된다.

 

Ethernet와 Internet의 개념을 좀 정의해보자 

Internet는 여러 네트워크를 전세계적으로 연결한 컴퓨터 네트워크를 말한다. 네트워크는 가정용 네트워크가 있고 학교, 정부, 기업용 등 여러 네트워크의 쓰임새에 맞게 구성되어 있다. 반면 Ethernet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 중 한 방법을 말한다.

 

이더넷 방식의 가장 큰 특징은 CSMA/CD Protocol을 사용해서 통신을 한다.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을 줄여서 부르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여러대의 시스템이 동시에 통신을 하게 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부분을 어떠한 방식으로 처리하는지에 대한 기술을 말한다. 보통 우리가 일반적으로 느끼기에 동시에 통신을 해도 충돌은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생각할 수 있지만, 하나의 이더넷(LAN) 회선에서는 우리가 체감할 수 없는 아주 짧은 시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 및 처리를 하여 통신을 하게 된다.

CSMA/CD 충돌 감지 원리

  - 보낸 사람은 케이블의 신호와 이력을 확인하고, 다른 사람에게 신호가 흐르고 있지 않음을 확인 후 전송을 시작

  - 전송 중에도 파형에 의해 다른 사람의 송신과 충돌하지 않는지를 감시하며, 만약 충돌하는 경우에는 일정량의 전송 후        중단하고 각 보낸 사람마다 일정 시간의 딜레이를 두고 전송을 재시작한다.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ID란?  (0) 2024.03.11
스위치 허브 라우터 게이트웨이 개념  (0) 2024.03.10
http의 구조 이해  (0) 2024.03.07
포트(port) 개념 및 종류  (0) 2024.03.07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엑스트라넷(Extranet)  (0) 2023.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