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컴퓨터를 활용한 계산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실시간 컴퓨팅
2. 병렬 컴퓨팅
3. 모바일 컴퓨팅
4. 클라우드 컴퓨팅
답: 클라우드 컴퓨팅
해설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인터넷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컴퓨터 자원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식.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사용자들은 물리적인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소유하지 않고도, 네트워크를 통해 필요한 컴퓨팅 자원을 온디맨드로 사용할 수 있다.
1. 실시간 컴퓨팅(Real-Time Computing): 데이터 입력 후 즉시 처리하여 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
2. 병렬 컴퓨팅(Parallel Computing): 여러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동시에 여러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
3. 모바일 컴퓨팅(Mobile Computing):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장치를 이용해 언제 어디서나 컴퓨팅 자원에 접근하는 방식
다음 중 정보가 다수의 연산 소자에 분할되어, 그 처리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은? 이 것은 인간의 정보 처리 방식에 가까운 방식으로 고속처리에 주로 사용된다.
1. 다중프로그래밍
2. 시분할처리
3. 자연어처리
4. 병렬처리
답: 병렬처리
해설
- 병렬처리(Parallel Processing)는 정보를 여러 연산 소자(프로세서)에 분할하여, 각 프로세서가 동시에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는 작업을 여러 프로세서에 나눠서 수행함으로써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고속처리가 필요할 때 주로 사용된다. 병렬 처리는 인간의 뇌가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 방식과 유사하다라고 생각할 수 있다.
1. 다중 프로그램(Multiprogramming): 여러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동시에 적재하고, CPU가 프로그램을 교대로 처리하는 방식이다. 병렬 처리와는 달리, 한번에 하나의 프로그램만 실행된다.
2. 시분할 처리(Time-Sharing Processing):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시간을 분할하여 CPU를 할당하는 방식
3.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컴퓨터가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처리하는 기술을 말하며, 언어 처리와 관련된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