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의 사용자들이 하나의 컴퓨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팅 자원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식은?
1. 일괄 처리
2. 시분할 처리
3. 분산 처리
4. 실시간 처리
답 : 2. 시분할 처리(Time-Sharing Processing)
해설
시분할 처리(Time-Sharing Processing)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하나의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팅 자원을 시간 단위로 나누어 여러 사용자가 시스템을 공유하게 해주는 방식. 각 사용자는 자신이 컴퓨터를 족점적으로 사용하는 것처럼 느끼지만, 실제로는 시스템이 짧은 시간 동안 각 사용자에게 차례대로 컴퓨팅 자원을 할당하여 처리한다.
1. 일괄 처리(Batch Processing): 여러 작업을 한꺼번에 모아서 처리하는 방식으로 동시에 다수의 사용자가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한 번에 하나의 작업이 실행.
2. 분산 처리(Distributed Processing): 여러 컴퓨터 시스템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분산된 환경에서 처리하는 방식
3. 실시간 처리(Real-Time Processing): 입력된 데이터를 즉시 처리하여 결과를 내는 방식.
작업을 여러 프로세서에 분배하여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작업을 처리하는 시스템은?
1. 일괄 처리 시스템
2. 시분할 시스템
3. 실시간 시스템
4. 병렬 시스템
답: 4. 병렬 시스템(Parallel System)
병렬 시스템(Parallel System)은 작업을 여러 프로세서에 분배하여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여러 프로세서가 동일한 작업을 동시에 처리함으로써, 작업의 처리 속도를 높이고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두 문제의 차이점
1. 사용자 vs 작업 처리 방식:
- 첫 번째 문제에서는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프로세서를 시간 단위로 나누어 사용하는 방식(시분할 처리)를 묻고 있으며, 다수 사용자를 강조.
- 두 번째 문제에서는작업을 여러 프로세서에 분배하여 동시에 처리하는 병렬 처리 방식을 묻고 있으며, 다수의 프로세서를 강조
2. 프로세서의 개수:
- 첫 번째 문제(시분할 처리)는 단일 프로세서에서 여러 프로세서가 동시에 작업을 처리
- 두 번째 문제(병렬 시스템)은 여러 프로세서가 동시에 작업을 처리
결과
- 첫 번째 문제는 사용자들이 하나의 프로세서를 공유하는 방식(시분할)을, 두 번째 문제는 작업을 여러 프로세서에 분배하여 처리하는 방식(병렬 처리)를 물어보는 문제이다.
비전공자의 디지털 포렌식 문제는 참으로 이해하기도 힘들고 어렵기도 하다. 그래서 비슷한 유형의 문제들의 문제 차이점에 대해서 비교하여 정리 해보았다.
'Digital Forensic 이론 > 디지털포렌식2급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구조의 발전 문제(3) (2) | 2024.10.09 |
---|---|
SetUID 공격에 대한 대응 방안 문제풀이 (0) | 2024.03.14 |